펄스널리티 즉 성격 검사를 많이 해보신적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성격에도 Personality와 Character 두가지로 나뉩니다. 성격 심리학에서 보는 Personality & Character 에 대해서 설명 및 비교에 대해 알아 봅시다.
성격 심리학에서 본 Personality (성격)
심리학에서 Personality 성격은 개인의 독특한 생각, 감정, 행동의 집합으로 정의됩니다. 이는 다양한 상황에서 개인이 일관되게 볼 수 있는 행동 양식과 심리적 특성을 반영합니다. 인성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개인의 삶의 경험에 의해 형성되고 발달되는 개인의 내적 경험과 외적 표현 사이의 상호 작용을 포함하며 이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그리고 개인의 생활 경험에 의해 형성되고 발전합니다.
심리학에서는 성격을 설명하는 이론이 다양하고, 각각의 이론은 성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다른 관점을 제공합니다. 가장 잘 알려진 이론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신분석학 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은 인격을 id, ego, superperego의 세 가지 구조로 나누고,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행동과 심리적 과정을 결정한다고 주장합니다.
- 특성 이론: 특성 이론은 개인의 성격을 구성하는 기본적이고 안정적인 특성(예: 외향성, 친화성)에 초점을 둡니다. 이 이론은 성격 특성이 일관된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고 믿고 다양한 특성 측정 도구를 통해 개인의 성격을 분석합니다.
- 행동주의 이론: 행동주의 이론은 성격을 외부 환경과의 상호 작용에서 배운 행동의 결과로 간주합니다. 이 이론은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개인의 내적 생각과 감정보다는 환경 조건과 그에 대한 반응을 강조합니다.
- 인본주의 이론 인본주의 이론은 개인의 자아실현과 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인격의 핵심으로 보고 그들의 독특한 경험과 개인적 성장에 초점을 둡니다. 칼 로저스(Carl Rogers)와 에이브러햄 매슬로우(Abraham Maslow)가 이 분야의 핵심 인물입니다.
- 사회 심리학 이론: 이 이론은 성격 형성에 있어 사회적 상호 작용과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저는 개인과 사회의 상호 작용이 개인의 성격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각각 심리학에서 인성의 다양한 측면을 탐색하고 인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인성은 개인의 정체성과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심리학 연구와 임상 실습에서 중요한 주제입니다.
성격 심리학에서 본 Character (인)
성격 심리학에서 ‘성격’은 개인의 도덕적, 윤리적 특성을 말합니다. 개인의 신념과 도덕적 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들의 행동을 특정한 방식으로 인도할 수 있습니다. 즉, 성격은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합인 반면, 성격은 개인의 내적 가치와 그것을 어떻게 행동으로 옮기는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요컨대 인물은 개인의 내면적 가치관과 도덕성을 반영하고, 인물은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고 외부적으로 인식되는지를 설명합니다. 인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다른 상황에서 나타나며, 사람이 얼마나 정직하고 친절하며 도덕적인지와 같은 내면적 특성을 드러냅니다.
Personality와 Character 비교
성격과 성격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심리학에서 두 용어는 그것들을 구별하는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개인의 행동과 동기를 분석할 때 중요합니다.
성격
- 정의: 성격은 개인의 생각, 감정, 그리고 행동 양식의 독특한 집합입니다. 그것은 일관된 것처럼 보이는 행동 양식을 포함하고, 사람이 다른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하고 상호 작용하는지 설명합니다.
- 특성: 성격은 유전적 요인, 개인의 삶의 경험, 환경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발달합니다. 성격은 개인의 외적 특성을 말하며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포함합니다.
- 측정 : MBTI나 빅5 성격검사 등 다양한 심리검사와 평가를 통해 인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성격
- 정의: 캐릭터는 개인의 도덕적, 윤리적 가치를 반영합니다. 그들은 개인의 신념 체계, 원칙, 그리고 이 원칙에 기초한 행동으로 구성됩니다.
- 특성: 인성은 도덕성, 정직성, 용기와 같은 덕목을 포함하여 개인이 선택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내적 속성입니다. 인성은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개인이 어떤 도덕적 결정을 내리고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나타냅니다.
- 측정: 인물은 성격만큼이나 명확하게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이것은 보통 관찰, 개인의 행동 패턴, 자기 보고 방법을 통해 평가됩니다.
주요 차이점
성격은 대인관계에서 개인의 전반적인 행동 패턴과 반응을 설명하는 반면, 성격은 개인의 내적 도덕적 가치와 그에 상응하는 행동에 초점을 둡니다.
성격은 더 넓은 개념으로, 개인이 외부적으로 어떻게 인식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성격은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가치관에 기반을 둔 내적 속성에 초점을 둡니다.
이러한 차이를 통해 성격과 성격 모두 개인의 행동과 대인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각각 다른 측면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영어로 본 Personality vs. Character
- Personality: 일반적인 성격 또는 개성
사람을 바로 보았을 때 알수 있는 그 사람의 특징을 말합니다.
- Character: 인격 또는 성품
그 사람의 인격은 오랜 시간 걸려야 알수 있는 사람의 특징으로 옳고 그름에 대한 언급을 할수 있습니다.